안녕하세요 살면서 유용한 정보를 공개하는 박주무관입니다.
3월은 3˙1절로 시작합니다.
공휴일이어서 좋다~ 라는 생각도 있지만, 우리나라 독립의 시작을 알린 뜻깊은 날이기도 합니다.
3˙1절 등 국경일인 날에는 태극기를 게양하며, 그 날을 다시 되새깁니다.
그래서 이번 시간에는 3˙1절을 기념해서 '태극기 게양하는 방법'에 대한 정보를 공개하고자 합니다.
Ⅰ. 3˙1절이란?
시작에 앞서 3˙1절에 대해 간략하게 알고 가보겠습니다.
3˙1절이란?
한민족이 일본의 식민통치에 항거하고 독립선언서를 발표하여 한국의 독립 의사를 세계만방에 알린 날을 기념하는 국경일
3˙1운동은 1919년 3월 1일 기점으로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여 전 민족이 일어난 항일독립운동입니다.
제1차 세계대전 이후 전승국의 식민지에서 최초로 일어난 대규모 독립운동으로, 역사에서 뜻깊은 날 중 하루죠.
이 날을 기념하기 위해 1920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시절 양력 3월 1일을 국경일로 지정하면서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.
Ⅱ. 태극기 게양하는 방법
1. 게양하는 날
태극기를 다는 날은 국경일 및 기념일 그리고 조의를 표하는 날 등이 있습니다.
<국경일 및 기념일>
- 3˙1절(3월 1일)
- 제헌절(7월 17일)
- 광복절(8월 15일)
- 국군의 날(10월 1일)
- 개천절(10월 3일)
- 한글날(10월 9일)
- 정부가 따로 정한 날
- 지방자치단체가 조례 또는 지방의회의 의결로 정하는 날
<조의를 표하는 날>
- 현충일(6월 6일)
- 국가장 기간 등
2. 게양하는 방법
태극기를 게양하는 방법은 '경축일'과 '조의를 표하는 날' 2가지로 나뉩니다.
<경축일 및 평일>
-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떼지 않고 게양
<조의를 표하는 날>
- 깃봉과 깃면의 사이를 깃면의 너비(세로)만큼 떼어서 게양
3. 게양하는 시간
태극기를 다는 시간과 내리는 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.
<다는 시간>
계절과 상관없이 오전 7시
<내리는 시간>
- 3월 ~ 10월 : 오후 6시
- 11월 ~ 2월 : 오후 5시
4. 시설별 게양하는 방법
주택, 건물 등 시설별로 국기를 다는 위치도 정해져 있습니다.
<단독주택, 공동주택 등>
- 집 밖에서 보아 대문 또는 난간의 중앙이나 왼쪽에 게양
<건물 주변>
- 건물 지상 중앙 또는 왼쪽
- 옥상 차양시설 위 중앙
- 출입구 위 벽면 중앙
<차량>
- 전면에서 보아 왼쪽에 게양
5. 태극기 구입 방법
태극기는 각 지자체 민원실(시군구청이나 읍면동)이나 구내매점에서 살 수 있으며, 인터넷 태극기 판매업체나 우체국에서도 구입할 수 있습니다.
6. 태극기 관리 방법
태극기는 구겨지지 않게 잘 접은 후 깨끗하게 보관하며, 훼손된 태극기는 각 지자체 민원실, 주민센터에 설치된 국기 수거함에 넣으면 됩니다.
7. 태극기 훼손 시 처벌
국기는 국가의 권위를 상징하는 표식으로 대한민국을 모욕할 목적으로 훼손할 경우, 형법에 따라 국기모독죄로 5년 이하 징역이나 금고 또는 700만원 이하의 벌금이 처해질 수 있습니다.
모두 올바르게 태극기를 게양하고 마음을 되새기는 뜻 깊은 하루를 보내셨으면 좋겠습니다.
Ⅲ. 요 약
- 경축일 일때는 높게, 조의를 표할 때는 낮게 게양
- 주택과 건물은 밖에 보았을 때 왼쪽이나 중앙, 차량은 앞에서 보았을 때 왼쪽
- 태극기는 소중히!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카카오뱅크 명의도용방지 서비스(엠세이퍼)] 핸드폰 명의도용 무료조회, 방지 신청방법 정리 (1) | 2024.03.25 |
---|---|
[22대 국회의원 선거] 사전투표 일정, 선거 방법 등 정리 (0) | 2024.03.19 |
[주말 휴일 병원, 약국 찾기] 응급의료포털 E-Gen 사용 방법 정리 (0) | 2024.03.04 |
[안전운전하고 보험료 할인 받기] TMAP 착한운전 할인 특약 가입 정리 (2) | 2024.02.24 |
[당신이 모르는 여권 재발급의 비밀] 여권 재발급 준비물, 온라인 신청방법 정리 (0) | 2024.02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