5월 1일부터 K-패스 사업이 시행되었습니다.
기존 알뜰교통카드에서 K-패스로 전환이 되었는데요. 어떤 혜택이 있는지, 카드 발급방법은 무엇인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.
1. K-패스란?
K-패스란 일정 횟수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할 시 대중교통비를 환급해 주는 사업으로, 기존에 알뜰교통카드에서 후속으로 시행되었습니다.
기후위기 대응을 위해 대중교통 이용을 장려하고, 고물가 시기에 대중교통비 부담을 완화하기 위한 좋은 정책이죠.
K-패스의 시행으로 이동 거리와 상관없이 누구나 쉽고 편리하게 이용이 가능해졌고, 지원 혜택도 더욱 확대되어 교통비 절감 효과도 더 커졌습니다.
2. K-패스 지원대상, 혜택, 이용방법
지원대상은 K-패스 사업에 참여하는 지자체에 거주 중인 만 19세 이상의 주민이며,
버스, 지하철, 신분당선, 광역버스, GTX 등 전국 모든 대중교통 이용 시 적립할 수 있습니다.
단, 시외(고속)버스, KTX, SRT 등 별도 발권을 받아 탑승하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습니다.
적립방법은 월 15회 이상 대중교통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이용금액이 높은 순으로 지급되며,
가입 첫달은 15회 미만 이용 시에도 지급됩니다.
적립률은 일반 20%, 청년 30%, 저소득 53%로 청년은 만 19세~34세, 저소득층은 기초생활수급자 및 차상위계층을 말합니다.
한 달 대중교통비가 7만 원(1년 84만 원)인 K-패스 이용자는 아래와 같은 연간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.
일반 : 84만원 * 20% = 17만 원
청년 : 84만 원 * 30% = 25만 원
저소득 : 84만 원 * 53% = 44만 원
이용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기존의 알뜰교통카드 이용자는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K-패스 회원전환 시 사용 중인 알뜰교통카드와 계정 그대로 k-패스에서 이용이 가능하며,
4월 30일까지 회원전환을 하지 않았다면 회원 전환일 또는 K-패스 신규 가입일부터 혜택이 적용됩니다.
(알뜰교통카트 홈페이지 : https://alcard.kr/)
알뜰교통카드
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
alcard.kr
알뜰교통카드를 이용하지 않았던 신규 가입자는 K-패스 또는 알뜰교통카드 준비 후 K-패스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 후 이용하면 됩니다.
(K-패스 홈페이지 : https://korea-pass.kr/)
K-패스
K-패스 홈페이지
korea-pass.kr
3. K-패스 카드 발급방법
K-패스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K-패스 카드를 발급해야 합니다.
K-패스 카드 발급방법은 K-패스 홈페이지 접속 후 K-패스 카드 - 카드 소개로 들어갑니다.
카드 소개로 들어가며 11개 카드사의 총 23개의 K-패스 카드를 볼 수 있습니다.
카드별로 각자 혜택이 조금씩 다르니 자주 쓰는 은행 또는 원하는 혜택이 있는 카드를 선택해서 발급받습니다.
이후 K-패스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하며 발급받은 카드번호를 입력하면 K-패스 카드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.
위 절차는 모바일 또는 앱으로도 가능하니 참고하세요.
이렇게 K-패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. 모두 K-패스로 대중교통 이용하고 알뜰하게 환급받으시기 바랍니다!
'생활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카카오뱅크 명의도용방지 서비스(엠세이퍼)] 핸드폰 명의도용 무료조회, 방지 신청방법 정리 (1) | 2024.03.25 |
---|---|
[22대 국회의원 선거] 사전투표 일정, 선거 방법 등 정리 (0) | 2024.03.19 |
[주말 휴일 병원, 약국 찾기] 응급의료포털 E-Gen 사용 방법 정리 (0) | 2024.03.04 |
[3˙1절 기념] 태극기 게양하는 방법 정리 (0) | 2024.02.29 |
[안전운전하고 보험료 할인 받기] TMAP 착한운전 할인 특약 가입 정리 (2) | 2024.02.24 |